국내 유일 PA 모듈 업체
동사는 스마트폰 등 단말기의 신호를 기지국으로 보낼 때 증폭시키는 역할 을 하는 PAM 주)을 주로 납품하며 PA 모듈을 설계한 뒤 파운드리 업체에 외주 가공을 맡기는 팹리스 RF(무선주파수) 시스템반도체 업체 PA 모듈은 현재 미국의 Broadcom, Skyworks, Qorvo 등의 업체들이 글로 벌 시장을 약 90% 가까이 독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며 5G 스마트폰에서 4G 스마트폰 대비 탑재량이 약 2배 가까이 증가해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RF 관련 부품 시장은 2018년 약 150억달러에서 2025년 258억으로 CAGR(연평균성장률) 8%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중에서도 PA 모듈은 2018년 약 60억 달러에서 2025년 104억달러로 증가 전망
와이팜 일봉
와이팜 주봉
RF 프론트엔드 모듈(RF FEM) 구조
중저가 및 5G 스마트폰 출하량 확대로 2021년 역대 최대 실적 전망
동사 실적은 코로나19로 인한 고객사 출하량 감소, 4G 모델의 출시 지연 등으로 2020년 영업적자 32억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나 2021년 에는 고객사 중저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 5G 모델 출시 확대로 영업이익 199억원(영업이익률 11.5%)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할 전망 현재 매출액의 대부분이 국내 스마트폰 업체의 중저가 모델에서 발생하는 데 향후 국내 업체의 5G 중저가 스마트폰 출하량 확대뿐 아니라 중국 고객 으로의 매출 다변화가 기대되어 중장기 성장성은 확보했다고 판단. 실적 가 시성 확보되는 경우 주가도 우상향 가능할 것으로 전망
출처: NH투자증권
함께 봐야 하는 분석
'투자분석 > 반도체,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나, 주가전망, 삼성전자 CIS, AP 판매량 증가 수혜 (0) | 2020.12.25 |
---|---|
한솔케미칼, 4분기 실적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실적개선 (0) | 2020.12.25 |
아이엘사이언스, 탈모방지용 LED 두피마스크 매출 본격화 (0) | 2020.12.24 |
LG전자, 엘지마그나(JV) 설립 컨퍼런스콜 요약 (0) | 2020.12.23 |
LG전자, 물적분할 후 마그나와 전기차 부품 합작법인 설립 (0) | 2020.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