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업종 주요 이슈 점검 시리즈 두번째 보고서. M&A 및 전략적 제휴 투자활동 리뷰
- 과거와 달리 국내에서도 M&A, JV 설립, SI 참여 등 다양한 형태의 R&D 투자활동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중. 신약개발 원천기술이나 플랫폼 확보, 초기 단계에서의 차세대 기술 및 치료분야 개발 선점, 글로벌 상업 임상을 위한 자본 협력 등이 목적으로 글로벌 시장 트렌드에 맞는 전략. 제약사-바이오텍, 상장사
-스타트업, 국내 기업-해외 기업간 오픈 이노베이션 및 R&D 분업화 전략을 통해 개발 신약의 혁신성 및 임상 성공확률, 글로벌 상업성 높아질 수 있을 전망. 국내 제약바이오 중장기 R&D Value 상승 요인으로 판단
- 2020년 국내 기업간 기술협력을 위한 의미있는 전략적 투자 이벤트 발생. 제넥신 툴젠 지분투자는 유전자
-세포 치료제 분야로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글로벌 R&D 방향성과 일치하는 전략으로 시의 적절해 보임. 유전자 가위 기술 보유 글로벌 바이오텍 3개사 시가총액 $2B~$11B에서 형성 중인 가운데 제넥신 투자 툴젠 기업가치 5천억 내외에서 이뤄진 점도 매력적. 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상업적으로 개화되고 있는 가운데 CRISPR Therapeutics($11B)와 동일한 3세대 기술(CRISPR/Cas9) 보유 툴젠 투자는 긍정적
- 2020년 ㈜SK와 제넥신이 각각 2,200억, 800억 규모로 의미있는 투자활동 전개. SI 자본 참여를 통한 공동 연구개발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기업은 유한양행. 여타 기업들 AI 기반 플랫폼 기술과 면역세포치료제 분야에 자본참여 없는 공동 연구 적극적으로 나섬
- 글로벌 헬스케어 M&A 상반기에 부진했으나, 풍부해진 현금 유동성과 COVID-19로 차질을 빚은 신약 상업화 스케줄을 커버하기 위한 노력들로 하반기 빠르게 정상화. 12월 현재까지 제약/바이오/의료기기 M&A 총 거래건수 242건으로 지난해의 95% 달성. 거래 건당 평균 M&A Premium 축소(103%→ 79%)로 총 거래금액은 지난해의 80% 수준인 $199B 기록. 특히 의료기기 M&A가 크게 감소, 거래금액 19년의 7%, 거래건수는 55%
- 글로벌 M&A Deal 타깃은 자가면역질환/면역항암제/뇌/염증성 질환, 기술은 ADC와 유전자 치료신약. 지난해 대비로는 임상 2/3상 Pipeline 인수 비중이 확대된 점이 특징적
2020년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M&A 및 전략적 지분투자 현황
2020년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공동 연구 및 개발 협력 현황
2020년 글로벌/제약 바이오 M&A Deal Value Top20 거래 내역
글로벌 VC 투자 Private Biotech 2020년 M&A Deal Value Top20 현황
2018~2026Y 글로벌 의약품 시장 세부 기술 분야별 전망은 다음 첨부보고서를 참고하세요
출처: KTB투자증권
I_Pharmaceuticals_20201216_KTB_679884.pdf
1.08MB
'투자분석 > 제약,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앤케이바이오, 글로벌 척추 임플란트 업체와 라인선스 아웃 MOU (0) | 2020.12.21 |
---|---|
톡신, 백신, 진단키트 12월 관세청 통관데이터 (0) | 2020.12.20 |
바이오니아, NDR, 분자진단매출 해외 유통상황 (0) | 2020.12.19 |
오스테오닉, 정형외과 임플란트 업체, 인허가 스케줄 (0) | 2020.12.18 |
한올바이오파마, HL036 미국 임상 3-2상, 3-3상 동시 개시 (0) | 2020.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