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콘텐트리 일봉
제이콘텐트리 주봉
스튜디오 가치 1.5조, 텐센트의 러브콜
JTBC 스튜디오, 3자배정 유증으로 4,000억원을 조달했다. 신주 발행가액 은 16,048원, 기업가치 약 1.4~1.5조원 수준이다. 이번 유증의 첫번째 핵 심은 JTBC 스튜디오가 기대하던 시장가치(1.0~1.2조) 보다 더 높은 가치 를 인정 받았다는 것. 두번째 핵심은 텐센트의 러브콜이 포착되었다는 사실 이다. 유상증자에 참여한 Aceville Pte Ltd(약 1,000억원 규모)가 텐센트 출 자 법인이기 때문이다. FI처럼 등장했으나 SI인 것을 들켜버렸다. 텐센트와 아이치이의 한국 본격진출 기대감, 호재 중의 호재다
퀄리티 높은 대작으로 편당 마진 확대 가능
제이콘텐트리가 경쟁사 대비 가장 아쉬웠던 요인은, 1)시원시원한 대작이 없다는 것 2)그래서 편당 판매 이익이 적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제부터는 대작 얼마든 가능하다. 유상증자로 자금은 마련했고, 캐파는 최근 인수한 제작사들을 활용하면 된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JTBC 스튜디오가 드라마 제작사를 인수한 것이 아니라, 영화제작사들을 매우 공격적으로 인수했다 는 사실이다.
그래서 ‘드라마의 영화화’를 예상한다. 영화화된 드라마의 대표적 예로는 < 킹덤>, <방법>, <스위트홈> 등, 주로 OTT 흥행작들이 있는데, 일반적 드라 마보다 완성도가 높고 연출이 뛰어나다. JTBC 스튜디오의 퀄리티 높은 대 작 제작 -> 마진 확대를 전망한다.
스튜디오 지분가치 고려한 리레이팅 필요
극장 사업 부진 지속되고 있으나, JTBC 스튜디오 지분가치(합병 후 68%,) 만으로도 제이콘텐트리 가치는 7,500억원에 가까워야 한다. (20% 할인률 적용) 메가박스의 극장사업 ‘21년 상반기 적자(분기별 -100억원 ~ -150억 원 예상)를 고려하더라도 아직 업사이드는 충분하다. 방송부문, 스튜디오에 집중한 주가 리레이팅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료: 흥국증권
21.3월 통합 JTBC스튜디오 출범 및 4천억원 자금유치 성공
- 통합 JTBC스튜디오: JTBC스튜디오가 제이콘텐트리스튜디오를 흡수 합병해서 21.3월 출범. JCon이 지분 68% 보유. 드라마 기획, 투자, 제작, 유통(JTBC 예 능 포함) 등 모든 밸류체인을 담당함으로써 시너지 극대화 가능 - JTBC스튜디오는 28.4%로 비지상파 역대 최고 시청률을 달성한 <부부의 세계>, 두 번째로 높은 23.8%의 및 16.5%의 <이태원 클라쓰>의 기획/투 자/제작/유통을 담당한 검증 받은 스튜디오
- JTBC스튜디오는 전일 공시를 통해 4천억원의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전환우 선주 발행. 통합 전 기준 샤토홀딩스(Praxis Capital 출자 법인) 30%, 3천억원, Aceville(텐센트 출자 법인) 10%, 1천억원 - 21.3.26 납입, 21.4.15 신주권교부, 전환청구일은 1년 후인 22.3.26 - 유증 반영한 통합 JTBC스튜디오의 기업가치는 1.5~1.6조원 수준으로 추정, 전환 후 JCon의 통합 JTBC스튜디오에 대한 지분율은 50%대 초반으로 추정 - 기존 예상을 상회하는 기업가치 산정 및 자금유입(기존 추정 기업가치 1.2조원, 자금유입 2천억원)에 따라 JTBC 편성 증가, 국내외 타플랫폼향 드라마 제작, 텐 트폴 제작 등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 - 특히, 텐센트가 증자에 참여함으로써 텐센트 OTT향 오리지널 컨텐츠 제작, 텐 센트 OTT와의 동시방영 추진 등 중국시장 진출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
- 당사 추정 방송부문 매출 성장률은 향후 5년간 연평균 16%. 19년 기준 13편 인 JTBC향 드라마 공급이 연간 1편씩 증가. 19년 2.7천억원, 24E 5.3천억원 - 자금유치를 반영하면, 연간 JTBC향 드라마 공급 최소 2편씩 증가 및 제작비 증가 가정, 연평균 21% 성장 전망. 19년 2.7천억원, 24E 7.1천억원 - 자금유치 후 방송부문 사업 확대를 반영하면, 21년 영업이익 추정은 490억원에 서 550억원으로 +13%, 24년 영업이익 추정은 870억원에서 1.1천억원으로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
자료: 대신증권
엔터테인먼트 함께 보면 좋은 분석
'투자분석 >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웹툰 관련주, 디앤씨미디어 vs 미스터블루 (0) | 2021.01.01 |
---|---|
BTS 빅히트 레이블즈 콘서트 vs SM타운 라이브 (0) | 2020.12.31 |
에이스토리, 스튜디오드래곤, 팬엔터, 키이스트, NEW 상장기업 제작사(f.흥국증권) (1) | 2020.12.27 |
NEW, 중소형 제작사 에이스토리-팬엔터, 다음은? (0) | 2020.12.27 |
제이콘텐트리 주가전망, 콘텐츠 투자, 제작, 유통간 시너지 본격화 (0) | 2020.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