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온시스템의 친환경 부품군 분석
한온시스템의 친환경차 부품군은 배터리 성능 개선을 위한 배 터리 열관리 시스템, 컴프레서의 사이클을 이용해 가열효과를 얻어 차량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적은 전략을 소모하여 친환 경차의 주행거리를 높여주는 히트펌프,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 되는 전동 컴프레셔 등을 생산합니다.
한온시스템 영문 IR 자료 참조
해당 부품들은 전기차 성 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들이기 때문에 전기차 판매증가 에 비례하여 물량이 늘어나고, 평균 ASP도 기존 내연기관 부품군들보다 높기 때문에 매출액 기여는 이보다 클 것입니다. 한 온시스템의 친환경차 부품 매출액은 2020년 3분기 31% (YoY) 증가했고, 매출 비중도 전년 동기 14%에서 금년 19%까지 상승했습니다(vs. 2019년 연간 13%). 2020년 3분기 누적으로 한온시스템의 수주잔고 중 친환경차 부품군의 비중이 69%를 기록 하고 있는 바, 향후 수주 물량의 납품이 진행되면서 매출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입니다.
친환경차 부품군의 매출액은 향후 6년간 연평균 +24%
현재 한온시스템의 친환경차 부품군의 주요 고객은 폭스바겐/ 현대차/기아차/CAOEM/BMW 등인데, 3분기 현대차/기아차와 폭스바겐향 매출액이 각각 50%/80% (YoY) 증가하면서 크게 기여했습니다. 폭스바겐이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를 기반으로 출시한 ID.3의 고객 인도가 시작되었고, ID.4도 4분기부터 진 행되면서 폭스바겐향 매출액은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또한, 현 대차/기아차도 유럽 위주로 전기차 파생모델들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2021년부터는 전용 플랫폼인 EGMP 기반으로 다수의 전기차들을 연속으로 출시하기 때문에 현대차/기아차향 공급도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한온시스템은 친환경차 부품군이 연평균 24% 성장하여 2023년/2025년 매출액 각각 2.7조원/4.0조원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차 부품군 마진은 현재 4% 수준으로 내연기관차 부품군의 8% 대비 낮은 수준인데, 물량 증가로 고정비 부담이 완화되면서 2022년 ~2023년에는 내연기관차 부품군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빨리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고객사들의 전기차 사이클도 본격화되면서 한온시스템이 수혜를 받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하반기 이후 폭스바겐 MEB 플랫폼 기반의 신차들(ID.3와 ID.4 등)과 현대차/기아차 E-GMP 기반의 신차들(아이오닉5와 CV 등)로의 전기차 부품 공급이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출처: 하나금융투자, 송선재)
한온시스템 실적 추이 및 전망
xEV매출 본격 시작, 그러나 구조적 마진 개선은 아직 멀었습니다. 3Q20에는 동사 주력 고객사인 현대차그룹과 VW향 xEV매출액이 각각 YoY +50%, +80% 증가했으며, 총 xEV 매출비중은 약 1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xEV매 출액의 해당 영업이익률은 아직까지 동사 평균을 밑도는 4.6%를 기록하고 있어 높은 외 형 성장세 대비 마진 개선효과가 더딘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편 내연기관향 매출액은 OPM 8%의 성과를 기록했으며,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고객사 출하량의 회복과 더불어 전사적 판관비 축소 노력이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됩니다.
(출처: 이베스트, 유지웅)
'투자분석 > 자동차, 전기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신차 LED 수주 (0) | 2020.11.24 |
---|---|
현대차, E-GMP 출시 전기차와 친환경차 비중 상승에 대한 재평가 (0) | 2020.11.23 |
나라엠앤디, LG화학 배터리 사업의 성장과 함께 간다! (0) | 2020.11.21 |
현대오토에버, 현대차 그룹의 지배구조의 마지막 열쇠 (0) | 2020.11.19 |
테슬라, 자동차보험 사업 확대에 대한 분석 (0) | 2020.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