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분석/화학, 철강23

코오롱인더, 4분기 실적 전망, 글로벌 수소차 시장 성장 수혜 4분기 영업이익 480억원(+67%)으로 컨센서스 부합 예상 4분기 영업이익은 480억원(+67% 이하 QoQ)으로 컨센서스 470억원 에 부합할 전망이다. 산업자재 영업이익은 210억원(+15%)이 예상된 다. 자동차 수요 회복에 따른 타이어코드, 에어백 판매 증가 영향이다. 필름은 견조한 포장용 수요와 고부가 제품(태양광, MLCC용) 판매 확 대로 101억원(+7%)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 화학은 경쟁 심화에 따 른 판가 하락과 환율 영향 등으로 감익이 예상된다. 패션은 코로나 재 확산에도 성수기 효과에 따른 판매 증가로 흑자전환이 기대된다 코오롱인더 일봉 코오롱인더 주봉 21년 영업이익 1,970억원으로 전년대비 41% 성장 전망 2021년 영업이익은 1,970억원(+41%)이 예상된다. 2021.. 2020. 12. 25.
유니드, 임대주택 인테리어 수요 증가, 염소(chlorine) 가격 급등 유니드 일봉 유니드 주봉 염소 가격, 2015~19년 대비 +542% 상승 염소(chlorine) 가격 급등: 중국의 염소 가격은 189CNY/톤(2015~2019년 평균) => 1210CNY/톤(+542%)으로 급등했다. 염소는 가성소다/가성칼륨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원단위 0.6~0.7으로 생산되는데, 2018년부터 가성소다 가격 폭락 => 가성소다 가동률 하락 => 글로벌 염소 공급부족을 야기했기 때문이다. 반면 염소 수요는 최근 급등세다. 인프라/건설 수요가 회복되며 염소의 최대 전방인 PVC(에틸렌+염소) 수요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2021년 글로벌 건설 수요를 감안, 염소 강세는 최소 2Q21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기 대한다. ‘19년 동사의 염소 생산량은 35만톤으로, 단순 계산(계약 가격 등 .. 2020. 12. 19.
석경에이티, 나노소재 핵심기술, 기술특례상장 20여년간 업력과 나노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소재혁신을 선도하는 국내 대표기업 1994년 석경화학 설립,2001년 법인 전환. 2009년 석경에이티로 사명 변경. 2002년 시카고 사무소 개소,2014년 일본 법인 설립 등으로 해외 진출,2007년 10월에 YbF3 파우더 첫 수출, 2011년 Kerr Dental사로부터 “Supplier of Year”로 선정. 2017년 5 월 3M Oral Care 3개 부문 수상.12월 23일 코스닥 기술성장기업으로 특례상장 예정. 전방사업별 매출비중(2020년 3분기 누적 기준)은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47.0%, 전기 전자 소재 18.6%, 바이오 치과 소재 16.8%, 기타 소재 및 임가공 17.6%를 차지함 공모 후 주주 비중은 최대주주 등 41.4%, 벤처금융.. 2020. 12. 11.
송원산업, 석유화학에서 가장 시황이 좋은 PE/PP/ABS/PVC의 제품 첨가제를 생산 기대되는 4분기 4Q 영업이익 추정치를 90억원 => 174억원으로 상향한다. 11~12월은 전통 적인 비수기(고객사 재고 정리 시즌)로 연말 정기보수를 진행하나, 올해는 수요가 부진했던 2/3Q에 일부 진행되어 4Q Full 가동이 기대된다. 송원산업의 Industrial Group Report(11/13일)에 따르면: 코로나 영향으로 시황은 불확실 하나, 더보기 1) 고객들의 주문 급증에, 2) 가동률 확대해 공급물량 확보 및 안전 재고를 비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 특수화학(주석/PU/PVC 첨가제)도 글로벌 건설 시황과 함께 회복세다. 4Q20/21년 EPS 추정치와 목표주가를 1.7만원 => 1.9만원으로 상향한다(Target PER 10/ PBR 0.8). 송원산업, NCC Out-Perf.. 2020. 12. 8.
효성화학, 롯데케미칼에 이어 국내 2위권 PP업체 PDH 통합 PP 설비도 견고한 스프레드를 유지하고 있다 금주(11/30일) 나프타 통합 기준 PP 스프레드는 톤당 $706로 2015년 6월 초 이후 처음으로 톤당 $700을 상회하였다. 특히 현재 PP 변동 마진율은 2010~2011년, 2016~2017년 슈퍼 싸이클 시기의 마진율을 경신하는 40%를 상회하고 있다. 1) 주요 시장인 중국이 수급 타이트를 반영하며, 재고량 감소 (Sinopec/Petro China 등 PE/PP 제조 업체의 재고 56.5만톤)가 발생하고 있고, 2) 태국/인도네시아/인도 등 타 아시아 지역도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 나고 있으며, 3) 주요 PP 수출 국가인 국내 업체들의 플랜트 셧다운이 발생하 고 있고, 4) 원재료인 프로필렌 가격과 운송비용 상승이 제품가격을 동시.. 2020.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