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5,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클리오에 대한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35,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목표주가는 12M Fwd EPS에 Target P/E 30x를 적용하여 산출했다. 국내 동종기업 평균 P/E는 35x 수준이다. 코로나19에서 빠르게 정상화된 지역은 색조 수요의 회복이 나타나고 있다
. 또한 우리나라의 색조 수출도 4월 성장 전환, 5월은 색조 수출 증가율이 기초 증가율을 넘어섰다. 색조 수요가 본격적인 회복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클리오는 ①높은 색조 비중, ②견고한 해외 성과, ③탄탄한 내수 점유율을 바탕으로 색조 수요 정상화 시 최대 수혜 기대된다. 2021년 클리오의 연결 실적은 매출 2,442억원(YoY+12%), 영업이익 146억원 (YoY+134%) 전망한다. 색조 밸류체인 중 최선호주 제시한다.
클리오 일봉
클리오 주봉
색조 수요 회복 시, 이익 개선 최대
클리오(연결)는 클리오, 페리페라, 구달 등 핵심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클리오와 페리페라가 색조 브랜드로 2019년 매출 비중은 81%를 기록했다. 색조 매출 비중이 80% 이상으로 마스크 생활화와 대면 활동 급감에 타격을 가장 많이 받은 기업 중 하나다. 반대로 코로나19 회복 시, 외형과 수익성 측면에서 개선 폭이 가장 클 기업이다.
지난해 클리오는 수요 급감으로 합산 매출은 16% 감소했으며, 비중은 78%까지 하락했다. 지난해 2분기부터 매출이 감소했으며, 이제는 편안한 기저구간이다. 2분기 클리오(연결)의 매출성장률은 19% 예상하며, 4분기는 수요 회복으로 2019년 매출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2021년 해외 매출 54% 성장 기대
클리오는 상장 이후 해외 확장에 집중했다. 중국/일본/미국 순차적으로 성과가 나타나고 있 다. 제품기획력 및 합리적 가격이 경쟁력으로 판단한다. 1분기 해외 디지털 매출은 178억원 기록, 전년동기비 107% 성장했다. 중국이 드디어 회복 전환됐다. 지난해 8% 감소했으나, 1 분기 전년동기비 167% 성장하며 분기 최대 매출 기록했다. 립제품 중심으로 수요가 강하다.
일본은 2020년 코로나19에도 82% 고성장 했다. 수요가 좋은 가운데, 채널 및 카테고리 확 대가 동반된 결과다. 1분기 전년동기비 15% 성장하며, 일본 또한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2021년 해외 매출은 54% 성장한 990억원 기대되며, 비중은 40%(+11%p) 까지 확대 예상 된다.
펌텍코리아 일봉
펌텍코리아 주봉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2,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펌텍코리아에 대한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32,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목표주가는 12M Fwd EPS에 Target P/E 15x를 적용하여 산출했다. 펌텍코리아는 화장품 용기 제조기업으로 펌프, 튜브, 콤팩트, 스틱 등 업종 카테고리 전반을 생산하고 있다. 다양한 카테고리, 다양한 고객사를 보유한 것이 동사의 장점이다. 업종의 회복은 동사의 외형 회복의 시그널로 판단한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2월부터 성장 전환, 3월 14% 성장하며 완연한 회복 구간으로 진입했다. 2021년 펌텍코리아의 연결 실적은 매출 2,237억원(YoY+14%), 영업이익 323억원 (YoY+18%) 전망한다. 별도 매출과 이익은 각각 12%, 20% 성장 가정했다. 현재 주가는 2021년 실적 기준 12x 수준이며, 2분기부터 본격 증익 구간으로 매수 관점 제시한다.
색조 수주 회복 기대
국내 색조 시장은 2010-19년 기간 연평균 9% 성장했으나, 2020년에 22% 감소했다. 선제품의 경우 연평균 3% 성장했으나, 지난해 17% 감소했다. 지난해 2분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시행으로 색조 및 선제품 수요가 본격적으로 급감했다. 현재 국내는 리오프닝 효과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편안한 기저 구간에 진입한다. 펌텍코리아의 제품 중 색조(콤팩트, 스틱)와 선제품(스틱) 관련 합산 매출 비중은 2019년 29% 였으며, 지난해 해당 매출이 20% 감소하며, 비중이 20%까지 하락했다.
이미 색조, 선제품 수요를 대비한 국내외 기업의 수주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1분기 이미 콤팩트 매출은 2019년의 97% 수준까지 도달했다.
주주환원정책 고려
펌텍코리아는 2019년 무상증자, 자사주 매입 등을 단행했으며, 관계사 부국티엔씨 지분을 추가 취득함으로써 비유기적인 성장도 도모했다.
또한 지난해 말 잘론내츄럴 지분 60% 인수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시장 진출하는 등 보유현금을 통해 성장 잠재성을 키웠다. 2020년 이익은 증가되지 못했지만 주당배당금을 30% 늘렸으며, 경영진 및 최대주주는 차등 배당을 했다. 2021년은 순이익이 전년동기비 26% 증가 예상 되는 만큼 주당배당금은 올해도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 유안타
'투자분석 > 음식료, 소비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J CGV, 전환사채 발행 일정 및 주주공모 청약 결과 (0) | 2021.06.05 |
---|---|
신세계푸드, 노브랜드 버거, 급식 음식료 관련주 (0) | 2021.06.02 |
골프 의류 관련주, 크리스에프앤씨 vs 휠라홀딩스 (0) | 2021.05.31 |
남양유업, 한앤컴퍼니(한앤코)에 경영권 양도 계약 체결 분석 (0) | 2021.05.27 |
중국 화장품 관련주, 코스맥스 vs 한국콜마 (0) | 2021.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