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쁘다 바빠
중국 소비가 견고함에 따라 동사의 주요 고객사 물량이 증가 추세다. 2분기는 상반기 중국 최대 쇼핑 페스티벌인 ‘6.18 쇼핑축제’가 있으며, 해당 6.18 물량이 반영 됨에 따라 주요 고객사향 매출이 역사상 최대액 기대된다. 또한 3월부터는 국내 화장품 시장의 온라인 구매액도 완연한 증가 추세에 접어들었다. ‘백신 접종률 상승→외부 활동 확대→화장품 소비 증가’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소 더뎠던 동사의 중견/인디 브랜드향 물량의 증가 시그널이 감지된다. 한편 1분기 미국향 수출이 역사상 최대액을 기록했는데 추세는 2분기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유럽향 수출 물량은 감소 확대 추세 일단락 된 것으로 파악된다.
연우 주가 일봉
연우 주가 주봉
2분기 영업이익 91억원(YoY+95%) 전망
연우의 2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763억원(YoY+29%), 영업이익 91억원(YoY+95%) 전망함에 따라 컨센서스 영업이익을 14% 상회할 것으로 예상한다. 내수(국내 중국/면세 판매 물량 포함)와 수출 각각 50%, 6% 성장 전망한다. 국내 핵심 고객사향 매출 증가뿐 아니라 업황 회복에 따라 기타 브랜드향 물량 증가도 나타나고 있다.
핵심 고객사향 물량은 전년동기비 70% 성장한 290억원 전망하며 역사상 최대액 기록할 것이다. 그외 국내 브랜드향 물량 또한 26% 증가 예상된다. 매출이 전년동기비 두자리수 증가, 전분기비 7% 성장함에 따라 영업이익률이 두자리수 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12%, +4%p yoy).
중국 화장품 소매판매액 증가율 추이
자료: 유안타
2021년, 회복 초입 최대 성과
2021년 화장품 업황은 회복 추세다. 중국 시장은 두자리수 고성장 이어지며, 국내 면세 및 내수는 (+) 성장 전환되었다. 연우의 핵심 고객사는 중국과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이 확대되며 연우의 외형 성장을 견인해 주고 있으며, 연우는 국내외 영업력 확대를 통해 추가적인 성장동력을 확보 중이다. 2021년 국내외 업황은 회복 초입 국면이며, 연우는 최대 성과 기대된다. 2022년은 국내외 백신 접종률 확대에 따라 국가간 리오프닝이 기대되는 만큼 2021년을 뛰어넘는 성과가 이어질 것이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8만원 유지한다.
'투자분석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리버리 주가, TSDT 기술 기반의 연구개발 업체 (0) | 2021.06.22 |
---|---|
현대글로비스 주가, 2Q21 preview 및 업황 점검 (0) | 2021.06.22 |
한국전력 주가, 3분기 연료비 조정 분석 (0) | 2021.06.19 |
글로벌 타이어 분석과 전망 (0) | 2021.06.19 |
코오롱인더 주가, 2분기 영업이익 최대 실적 (0) | 2021.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