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은 어떤 회사인가요?
녹십자는 혈액제제와 백신제제에 특화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업체입니다. WHO 산하 기관향 공급계약을 체결 완료하였습니다. 대표 제품으로 면역글로불린 IVIG-SN,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혈우병 치료제 그린진에프 등 보유하고 있습니다. 내수 독감백신 실적 증가 및 내년 상반기 헌터라제(헌터증후군) 중국 출시로 구조적 실적 성장 국면에 있습니다.
녹십자의 R&D 이벤트 스케줄 분석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관련
지난 10월 녹십자는 CEPI로부터 최소 5억도즈의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 을 체결했습니다. CEPI에 속한 회사에서 출시되는 백신의 Fill&Finish(완제)공정을 담당합니다. 계약기간은 2021년 3월부터 2022년 5월까지입니다. CEPI에서 지원한 여러 백신 중 판매허가를 받은 백신을 위탁생산하기 때문에 특정품목에 얽매이지 않아 매출 가시성이 높습니다. 또한 연간 8억개의 충분한 캐파를 보유하고 있어 기존 백신 사업에 지장이 없고 인력 확충이나 캐파 증설 등 추가적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이익으로 직결됩니다. 최근 Moderna 등 일부 백신의 승인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져 이 르면 연내 본 계약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출처: 한국투자)
CEPI(감염병혁신연합,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는 전세계적인 팬데믹을 막기 위해 사전에 백신을 개발하고 비축하고자 2017년 다 보스에서 발촉된 연구집단입니다.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노르웨이, 독일, 일본 등으로부터 4.6억달러 규모의 초기 지원금을 받았으며 전세계 주요단체로부터 1 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 바 있습니다. CEPI는 연구단계부터 백신의 개발과 임상시 험까지 모든 연구단계를 지원하며 바이오텍이나 빅파마들과의 협업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GSK와의 협력을 발표했으며 현재까지 현재 9개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지원했습니다(Moderna, CureVac, University of Queensland, University of Oxford, NovaVax, Clover Biopharmaceuticals, Themis/Institut Pasteur, The university of Hong Kong 등).
코로나19 백신 매출 추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난 10월 21일 동사는 CEPI와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 는 본계약 전 부킹계약으로,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생산 및 공급이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는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오창 공장 증설을 통해 fill & finish(원료의약품 제조 후 충진 및 포장 공정) 설비를 이미 충분히 갖춰 놓았습니다. 현재 동사의 fill & finish 공정 최대 CAPA는 10억도즈 수준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 공급 확대를 위해 CMO 설비에 대한 수요 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그 중에서도 다년간 해외 입찰기구 PQ 인증(사전적 격성평가, Pre-Qualification)을 통해 역량을 갖춘 동사가 CEPI 물량을 확보 하게 된 것으로 판단되며 CEPI 계약 외에 추가 수주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1년 연간 실적 전망
2021년 녹십자의 매출액은 연결 기준으로 전년 대비 약 8% 가량 증가한 1조 5,874억원, 영업이익 은 전년 대비 약 22% 증가한 1,018억원(OPM, 6.4%)으로 추정됩니다. 2021년에도 여전히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그 위세를 유지하고 있을 것으로 보이며, 그로 인해 3분기 트윈데믹에 대한 우려로 국내 독감백신 매출은 2020년과 비슷한 규모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하반기 북반구 독감백신 수출물량도 2021년보다 16% 정도 늘어난 370억원으로 추정됩니다. CEPI와 의 CMO 생산량은 아직 구체적인 계약 체결 전으로 정확한 물량과 분기별 시기 등을 추정하기 불가능해 실적 추정에는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출처: 하나금융투자)
신규사업
녹십자는 핵심사업으로서 혈액제제, 백신제제, 유전자재조합제제의 대형 수출품목 육성과 신규 시장 개척을 목표로 합니다. 혈액제제의 경우, 올 4분기께 면역글로불린 10% IVIG 미국 허가 신청을 앞두고 있습니다. 빠르면 내년 말 허가를 받아 내후년엔 이 제품 미국 매출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20년 7월 20일 공시 된 바와 같이, 북미 혈액제제 사업 가속화를 위해 이원화 되어 있던 북미 혈액제제 부문 구조를 녹십자로 일원화하여 혈액제제 사업을 더 빠르게 가속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적으로 국내 혈액제제 생산시설(오창공장)을 2배 증설 완료 되어,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될 예정 입니다.
'투자분석 > 제약,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코텍, 레이저티닙과 SYK억제제 신약가치산정 로직 (0) | 2020.11.18 |
---|---|
메디톡스, ITC 최종 판정, 수출품목 허가 취소, 3분기 적자 실적 (0) | 2020.11.17 |
젬백스, 알츠하이머, 전립선비대증, 췌장암으로 운명을 바꿀수 있을것인가? (0) | 2020.11.17 |
아이큐어, 플랫폼 기반 개량 신약 전문업체, 치매용 도네페질 패치제 분석 (0) | 2020.11.16 |
파미셀, RNA 기반 핵산치료제의 주원료인 뉴클레오시드 글로벌 선두기업 (0) | 2020.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