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롯데케미칼5

롯데케미칼, 목표 주가 분석, 재활용 플라스틱 관련주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450,000원으로 하향 - 목표주가는 12MF 예상 BPS에 목표 PBR 1.0배를 적용하여 산출 - 단기 시황 조정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10% 하향(목표 PBR 변경) - 다만 주가의 Downside Risk보다 Upside Potential이 더 크다고 판단 - 시황에 대한 과도한 우려로 현재 주가는 12MF PBR 0.6배 수준(과거 밴드 하단=불황기)에 불과한 저평가 상태이기 때문 단기 조정 이후 수요가 견인하는 호황 국면 지속 - 최근 화학 시황이 조정(=스프레드 하락) 국면에 진입하며, 중국발 대 규모 증설에 따른 다운싸이클 진입에 대한 우려 역시 확대 - 다만 시황 조정의 원인이 수요 둔화가 아닌 역내 주요 화학 제품 수 요국에서의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른.. 2021. 6. 15.
롯데지주 실적 및 주가, 밸류에이션, 자회사 분석 1분기 펀더멘탈 회복 증명. 전방위적 개선 롯데지주 1분기 실적은 당사 기대치를 소폭 상회하였다. 1분기 매출액 은 2조 3,387억 원(전년동기대비 +17.2%), 영업이익 426억 원(전년동 기대비 +363.0%)를 달성하였다. 이외 관계기업투자손익도 964억 원을 기록하면서 전체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롯데지주 일봉 롯데지주 주봉 롯데지주 실적 컨센서스 전망 이러한 추이는 2분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 유는 1) 상대적으로 부진하였던 세븐일레븐(편의점) 업황이 개선되고 있고, 2) GRS 구조조정에 따른 적자폭 축소와, 3) 연결자회사 지분율 증가에 따른 지배주주순이익 증가, 4) 롯데푸드 연결편입 효과, 5) 롯데 케미칼 업황 회복, 6) 내수시장 경기 회복에 따.. 2021. 6. 4.
NB 라텍스 관련주 '금호석유' vs 에틸렌 '롯데케미칼' NB Latex, 페놀체인의 견조한 시황은 지속될 전망 NB Latex의 전방인 장갑업체의 영업이익률은 과거 10% 수준 에서 현재 60~70%까지 급상승 했다. 수요증가와 가격상승에 따른 전체 시장의 파이가 커진 결과다. 코로나 이후 위생관념 변화 및 인당 사용량이 낮은 중국 등에서의 폭발적인 수요 증 가 등에 따라 전체 장갑 시장의 파이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가 능성이 높다. 태국 STGT의 2026년까지 장갑 증설 증가율은 GAGR +24%에 달하며, 일부 중국업체들은 2023년까지 10~12배 가량의 증설 계획을 내놓고 있다. 전체 시장의 확대 과정에서 NB Latex의 상대적으로 부족한 증설, 제한된 플레 이어 영향으로 NB Latex의 높은 수익성은 오랜 기간 유지될 전망이다. 건설/건축 인프라.. 2021. 5. 25.
석유 화학 PP, 라텍스 관련주, 대한유화 vs 롯데케미칼 vs 금호석유 PP 관련주 대한유화는 2개의 공장은 HDPE와 PP를 서로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서 합성수지 시황에 따른 탄력적운영으로 이익 극대화가 가능합니다. PP 관련주 롯데케미칼은 2020년 1월 롯데첨단소재를 흡수합병하였으며 울산IPA 증설, HDO 합작 신규사업 등 각 공장의 증설에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라텍스 관련주 금호석유의 합성고무산업은 천연고무와 유사한 성상을 지니는 합성고무상 물질 또는 고무상 탄성체가 될 수 있는 가소성 물질인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타이어, 신발 등의 주원료를 생산하는 사업입니다. 대한유화 일봉 대표제품 PE/PP 를 중심 실적 상향 4 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추정치는 각각 4,825 억원, 704 억원이 예상돼 12/31 일 기준 컨센서스(4,769 조원 / 717.. 2021. 1. 5.
효성화학, 롯데케미칼에 이어 국내 2위권 PP업체 PDH 통합 PP 설비도 견고한 스프레드를 유지하고 있다 금주(11/30일) 나프타 통합 기준 PP 스프레드는 톤당 $706로 2015년 6월 초 이후 처음으로 톤당 $700을 상회하였다. 특히 현재 PP 변동 마진율은 2010~2011년, 2016~2017년 슈퍼 싸이클 시기의 마진율을 경신하는 40%를 상회하고 있다. 1) 주요 시장인 중국이 수급 타이트를 반영하며, 재고량 감소 (Sinopec/Petro China 등 PE/PP 제조 업체의 재고 56.5만톤)가 발생하고 있고, 2) 태국/인도네시아/인도 등 타 아시아 지역도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 나고 있으며, 3) 주요 PP 수출 국가인 국내 업체들의 플랜트 셧다운이 발생하 고 있고, 4) 원재료인 프로필렌 가격과 운송비용 상승이 제품가격을 동시.. 2020.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