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텍의 2020년 2분기 잠정 경영 실적에 대한 IR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분기 대비 연결 영업이익은 124%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닏. 2분기 영업이익율은 10%를 달성하였으며, 상반기 영업이익은 연초 대비 158억원 초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본공장은 2분기 견조하며,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0년 2분기 심텍의 한국공장과 중국공장의 경영실적은 영업이익율 11%를 달성하였습니다. 매출액 2,799억원, 영업이익 304억원이 예상됩니다. 고부가가치 MSAP 기판 및 Server 용 제품 매출 확대에 따른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2020년 2분기 일본공장의 경영실적은 안정적 흑자기조가 지속됩니다. 매출액 419억원에 영업이익 4.5억원이 예상됩니다. GDDR6용 기판 위주로 매출 구조가 전환이 되며, 안정적 흑자구조가 지속됩니다. MSAP 매출비중이 대폭 상승하여 96%까지 올라갑니다.
2020년 연결 경영 실적 전망은 상향 발표되었습니다. 연결 매출액은 1.26조원, 연결 영업이익은 1,117억원, 영업이익율은 9%가 전망됩니다. 상반기는 연초 전망치 대비 영업이익이 55% 초과달성되었습니다. 코로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서버 및 그래픽 디램 관련 매출 확대로 2분기 실적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하반기는 상반기 대비 매출액은 6%, 영업이익은 52% 성장이 예상됩니다. 비대면 관련 수요 강세가 지속되며, 스마트 모바일 관련 제품은 점진적으로 회복이 전망됩니다.
한국공장과 중국공장의 경우 MSAP 기판, 서버향 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제품 믹스가 고도화됩니다. 영업이익은 고부가가치 제품위주로 매출이 견조하게 상승함에 따라서 영업이익율이 두자릿수대 진입이 기대됩니다.
일본공장의 경우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 매출 견조 상승에 따른 견조한 흑자전환이 기대됩니다.
그래픽 디램시장 성장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GDDR6 출하량 성장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GDDR6 어플리케이션 성장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심텍의 그래픽디램 관련 고객사현황은 다음과 같이 2019년과 2020년 변동이 있습니다. 2020년에는 빅3 제조업체와 글로벌 패키징 하우스 업체로 글로벌 고객 기반이 완성됩니다. 매출액이 1,1107억원에서 1,664억원으로 크게 증가합니다.
심텍의 2019년과 2020년 2분기까지의 연결기준 손익현황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분석 > 기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이엔티, OLED, 2차전지 검사장비의 다크호스,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분석 (0) | 2020.08.04 |
---|---|
프로스테믹스, AAPE 기반 화장품, 의료기기 공급업체, CB, BW 발행 공시 (0) | 2020.08.03 |
젬백스, 알츠하이머 치료제 GV1001의 국내 임상 2상 시험결과 (0) | 2020.07.20 |
카이노스메드, 파킨슨병 치료제 FDA 임상 2상을 위한 준비 완료 (1) | 2020.07.17 |
녹십자셀, 이뮨셀엘씨주 췌장암치료 국내 임상 3상 신청, CMO 계약 분석 (0) | 2020.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