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비중
수출 비중 50% 차지하는 북미 및 20% 비중의 유럽 지역 매출처, 상반기 재고 물량 점차 소진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글로벌 화장품 업황 회복 영향으로 7월 이후 수주 물량 성장 전망됨 에 따라 하반기 ODM 매출 성장 예상. 상반기, 일시적인 물류비용 증가 효과 및 큐브릭 관련 비 용 선반영 효과 발생했으나 하반기 관련 효과 제거되며 21F 전사 수익성 double-digit 수준까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본느 주가 일봉
본느 주가 주봉
-화장품 ODM 사업과 자체 브랜드 사업 영위하는 동사, 21F 본업 매출 가이던스 400억원, 2월 신 규 인수한 아토세이프(생활용품) 21F 매출 가이던스 500억원으로 연간 900억원 수준 매출 예상. 코로나19영향으로 수익성 약화되었던 브랜드 사업의 효율화 및 아토세이프 실적 신규 편입 효과 로 전년비 전사 수익성 역시 개선될 것으로 전망, 20년 OPM -2.4% 기록했으나 21F 전사 OPM double-digit 수준으로 개선 가능할 것으로 기대.
-21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42억원(+78.4%YoY), 영업이익 13억(흑전 YoY) 기록. 북미 및 유 럽 화장품 시장 업황 회복에 따른 본격적인 ODM 매출 성장 하반기 기대. 2분기 Top-line은 1분 기와 비슷한 흐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브랜드 부문 일시적인 물류 비용 증가 및 큐브릭 관련 비용 선반영 효과 반영 예상됨에 따라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 3Q21 이후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
-동사, 21년 2월 생활용품 사업 영위하는 아토세이프 지분율 68.9% 취득. 2020년 매출액 400억 원, 영업이익 47억원 기록. 향후 동사 안정적 매출 확보 가능할 것으로 기대. 큐브릭, 향후 브랜 드 유통/마케팅, 플랫폼 사업 확대 및 수익성 안정화되면서 22년부터 본격적인 전사 이익 성장 에 기여 가능할 것으로 전망
-터치인솔, 하반기 큐브릭 통해 기초 카테고리 런칭 계획. 2020년 효율화 작업 거친 내수 브랜드 사업, 재고자산 홈쇼핑 등 채널 통해 일부 판매될 예정이며 업황 회복에 따른 점진적 브랜드 사 업 회복 및 확장 가능성 또한 열려있어 동사 실적은 2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부터 개선 흐름 이 어갈 것으로 기대
'투자분석 > 음식료, 소비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F 주가, MLB, 디스커버리 아웃도어 관련주 분석 (0) | 2021.06.21 |
---|---|
CJ프레시웨이 주가, 하반기 실적 기대치 상향 (0) | 2021.06.21 |
롯데칠성 주가, 향후 실적 추정 분석 (1) | 2021.06.19 |
오리온 주가, 월별 영업이익 실적 분석 (0) | 2021.06.17 |
이마트 주가, 이베이 인수 분석 (0) | 2021.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