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어떤 회사인가요?
2001년에 설립된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재생의학 기반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을 생산 판매하는 재생 바이오 전문 회사힙니다. 자가재생 촉진물질인 ‘PDRN 및 PN’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의 다양한 제품 믹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투자포인트
주요 제품 판매 확대와 신제품 효과로 2020년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됩니다.
1) 콘쥬란의 안정적인 성장
2) 에스테틱 부문 성장 가시적
3) 신제품 라인업 확대 긍정적
1) 관절강 주사 콘쥬란의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콘쥬란은 골관절염 통증 완화 및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주사제로 올해 3월 급여 항목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급여 전환 이후 환자 부담금 감소 (20만원→5만원 수준)로 내원 횟수가 많아지면서 판매 증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 리쥬란, 클레비엘, 리쥬비엘 등 에스테틱 부문의 성장이 가시적이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속에서도 3분기 내수시장 매출은 견조하게 나타났습니다. 리쥬란 코스메틱 등의 중국향 수출 증가에 따른 실적 성장도 긍정적입니다. 리쥬란 힐러는 지난 1월 중국으로부터 1등급 의료기기 허가를 취득했습니다
3) 신제품 라인업 확대가 긍정적입니다. 피부 약물 주입기인 리쥬메이트는 10월부터 내수시장에서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고급형 리쥬란인 리쥬란HB은 내년 4월 중 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KB증권 보고서를 참고하세요.
참고: KB증권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분기 영업이익 100억원 시대 진입
코로나로 실적 우려가 있었으나, 콘쥬란과 화장품 판매 호조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기록했습니다. 3Q20 매출액 291억원(+48.7% YoY), 영업이익 95억원(+161.4% YoY), OPM 32.5%(+14.0%p YoY)
콘쥬란: 관절강 주사제 콘쥬란이 3월부터 급여적용으로 실적 견인했습니다. 연간(3~12월) 목표 매출액이 150억원이었으나, ▲ 탁월한 효능, ▲ 영업인력 증원, ▲ 6개월 간 5회 급여인정(히알루론산 3회 인정), ▲ 대학병원 판매개시 등을 통 해 목표액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관절강 주사제는 히알루론산이 연간 1,5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콘쥬란 ASP가 히알루론산 대비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콘쥬란 ASP로 환산한 시장규모는 4,000억원 수준입니다. 히알 루론산 시장의 주요 업체들의 점유율이 10% 초반인 점을 감안시 23년 전후로 점유율 10% 달성 예상됩니다
리쥬란 : 내수 시장에서는 광고효과로 3Q 매출이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주요 수출지역인 말레이시아, 싱가폴 향 매출이 코로나 영향으로 2Q에는 대폭 감소했으나, 3Q에 바로 회복했다는 점은 고무적. 한편, 3년 간 총 247억원 매출을 기대했던 중국 매출은 코로나로 부진. 다만, 발주 물량이 점증하고 있어 21년 중국 기여도는 상향 예상합니다.
기타: 의약품은 마진 기여도가 높으나, 분기 매출 100억원 내외 박스권을 못 벗어날 것입니다.. 리쥬란 투입시 수반되는 통 증을 완화하기 위해 리쥬란 주입기인 리쥬메이트 출시. 초기 반응이 좋아 내수 시장 공략 포인트로 적극 활용 예정합니다. 자회사가 개발 중인 리엔톡스(톡신)은 국내 임상 3상 진행 중이며, 품목허가는 21년 말, 제품 출시는 22년 초 예상 합니다.
참고: 케이프투자증권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바텀 밸류를 다져줄 ‘콘쥬란’의 급여화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연어의 생식세포에서 추출한 DNA를 정제한 물질인 PDRN (Polydeoxyribonucleotide)과 PN(Polynuleotide) 제조기술을 활용해 재생치료 및 의료미용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입니다.
대표 제품으로는 PN 관절강 주사 ‘콘쥬란’과 피부의 재생 및 개선을 유도하는 PN 성분의 ‘리쥬란’이 있습니다. ‘콘쥬란’의 급여화 전환 2019년 1월 출시되어 한 해 동안 약 7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콘쥬란’이 올해 3월 부터 비급여에서 급여로 전환되어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기존 시술가가 20 만원에 달해 히알루론산 관절강 주사 대비 환자들이 치료를 받기 부담스러운 수준이었으나, 급여화 전환으로 환자 부담 가격이 47,000원까지 인하되었습니다. ‘콘쥬란’은 6개월 내 최대 5회까지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으며, 기타 HA(히알루론산) 기반 관절강 주사가 6개월 내 최대 3회까지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혜택이 많은 편입니다.
참고: NH투자증권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바이오 섹터 관련 최근 분석글
- 유비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건강관리솔루션, 의료정보 활용 플랫폼의 강자
유비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건강관리솔루션, 의료정보 활용 플랫폼의 강자
유비케어는 어떤 회사인가요? 유비케어는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업체로 주요사업은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과 EMR관련 부가사업, 헬스케어 유통사업, 제약/데이터 분석솔루션,
bestcpacta.tistory.com
- 엘앤케이바이오, 척추 임플란트 의료기기 대규모 공급계약을 앞두고
- 오스코텍, 레이저티닙과 SYK억제제 신약가치산정 로직
- 메디톡스, ITC 최종 판정, 수출품목 허가 취소, 3분기 적자 실적
- 녹십자,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으로 기업가치 상승
'투자분석 > 제약, 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랩지노믹스, 미국 메릴랜드 진단키트 논란 그리고 회사 입장 (0) | 2020.11.21 |
---|---|
젠큐릭스, 암을 타겟으로 분자진단 업체, 개인 맞춤형 암치료 패러다임 (0) | 2020.11.21 |
유비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건강관리솔루션, 의료정보 활용 플랫폼의 강자 (0) | 2020.11.19 |
엘앤케이바이오, 척추 임플란트 의료기기 대규모 공급계약을 앞두고 (0) | 2020.11.19 |
오스코텍, 레이저티닙과 SYK억제제 신약가치산정 로직 (0) | 2020.11.18 |
댓글